커뮤니티

천문뉴스

  • 2018-12-12 [우주를 보다] 맨눈으로도 볼…

    ▲ 46P 혜성의 아름다운 자태. 다음 주면 지구 행성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혜성으로 등극한다. 혜성의 꼬리는 무려 목성까지 뻗친다.(출처:Alex Cherney/NASA)  12월 16일 맨눈으로 볼 수 있는 46P 혜성​엄청나게 밝은 혜성이 지구로 접근하고 있다. 46P / 비르타넨(Wirtanen)이라는 혜성으로, 5.4 년의 주기로 긴 타원형 궤도를 따라가는데, 이미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거리에 접근해 있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발표에 따르면, 곧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접근할 것이라고 한다. 밝은 녹색을 띤 이 혜성은 12 월 16일에 동쪽 지평선 바로 위에 나타날 때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여 맨눈으로도 충분히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원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출처 :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426601004 

  • 2018-11-27 NASA 화성탐사선 '인사이트'호…

    【로스앤젤레스=뉴시스】 미 항공우주국( NASA )의 화성탐사선 '인사이트( InSight )호가 206일간의 항해 끝에 26일(현지시간) 화성 적도 인근의 엘리시움 평원에 무사히 도착했다. 인사이트호는 오후 2시54분(미 동부시간), 한국시간으로는 27일 오전4시54분에 화성에 도착했다.<사진= CNN 캡처> 2018.11.26       【로스앤젤레스=뉴시스】 류강훈 기자 = 미 항공우주국( NASA )의 화성탐사선 '인사이트( InSight )호가 206일간의 항해 끝에 26일(현지시간) 화성 적도 인근의 엘리시움 평원에 무사히 도착했다. 인사이트호는 오후 2시54분(미 동부시간), 한국시간으로는 27일 오전4시54분에 화성에 도착했다. 지난 5월5일 발사돼 4억8000만㎞를 날아가 화성에 안착하자 실시간 중계방송을 하던 미 언론들은 일제히 터치다운에 성공했다는 낭보를 긴급뉴스로 보도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원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2018-09-27 [아하! 우주] 토성 위성 타이…

    ▲ 타이탄의 모래폭풍을 상상한 그래픽(출처=IPGP/Labex UnivEarthS/University Paris Diderot – C. Epitalon & S. Rodriguez)       지구와 묘하게 닮은 토성 위성인 타이탄에서 사상 처음으로 모래 폭풍이 포착됐다. 최근 프랑스 파리 7대학 연구팀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카시니호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타이탄의 적도 부근에서 모래 폭풍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태양계 내에서 모래폭풍이 일어나는 곳으로 밝혀진 천체는 지구와 화성 뿐으로 그만큼 타이탄이 지구와 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름 5150㎞, 표면온도는 - 170℃로 매우 낮은 타이탄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구름이 있으며 비가 내리고 호수와 광대한 모래언덕(사구)이 존재한다.    ...   출처 : 나우뉴스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925601007  

  • 2018-04-28 [아하! 우주] 우주에서 가장 …

    외계행성 중 손에 꼽을만한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이 발견됐다.최근 영국 킬 대학교 연구팀은 우리의 목성과 유사한 외계행성 'WASP-104b'가 빛을 최대 99%까지 흡수해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에 꼽힌다는 논문을 발표했다.크기도 목성만한 WASP-104b는 사자자리 방향으로 약 466광년 떨어진 별(항성)인 WASP-104의 주위를 도는 기체 행성이다.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 2014년으로 당시에 전문가들은 빛을 약 60% 정도 흡수하는 것으로 추측해왔다.이번에 연구팀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WASP-104b가 빛을 최대 99% 흡수한다고 결론지었다. 결과적으로 너무 어두워 거의 보이지 않는 행성인 셈이다. 물론 WASP-104b가 빛을 거의 반사하지 못하는 이유는 있다. 연구팀은 그 원인으로 증발상태의 나트륨과 칼륨 등이 행성 대기에 다량 함유돼 있어 빛을 흡수해 행성 자체를 어둡게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더 자세한 내용은 원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출처 : 나우뉴스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426601004

  • 2018-03-14 NASA, 첫 태양 대기 탐사 우주…

    하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우주 여행이 대중화되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남보다 먼저 우주에 가기 어렵다면, 이름이라도 먼저 올려보면 어떨까?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다가오는 우주계획에 일반 시민의 이름을 새겨 넣을 것이라고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다.NASA는  2018년 여름 진행하는 ‘파커 태양 탐사 미션(Parker Solar Probe Mission)’의 탐사선에 들어가는 마이크로칩에 시민들의 이름을 저장할 계획이라고 7일 (현지시각) 밝혔다.  출처 : 동아사이언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1682

  • 2018-01-24 “35년만의 슈퍼 블루문 · 개…

    슈퍼문과 블루문이 개기월식과 겹치는 현상이 일어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인 국립과천과학관은 슈퍼 블루문 개기월식 관측회를 오는 31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달이 지구에 가까이 접근해 크게 보이는 슈퍼문과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블루문이 개기월식과 겹치는 현상은 지난 82년 이후 35년만이다.지난 2015년 4월 개기월식은 달이 뜨기 전부터 월식이 진행되었고, 2011년 12월 월식은 전 과정을 모두 볼 수 있었지만 슈퍼문, 블루문이 아닌 일반적인 개기월식이었다. ...이번 월식은 서울의 경우 밤 8시 48분 6초에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기 시작해서 9시 51분 24초에 완전히 가려진 후 11시 8분 18초까지 약 77분 동안 지속된다.이후 자정이 넘어 새벽 1시 10분 월식의 모든 과정이 종료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원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출처 : 데일리안(http://www.dailian.co.kr/news/view/688875/?sc=naver)

<< 1 2 3 4 5 6 7 8 9 10 > >>